서 시민들이 운동을 하고 있
페이지 정보
본문
강남구 강남구립체육센터 헬스장에서 시민들이 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1일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시설이용료에 대한소득공제가 시작된다.
총급여 7000만원 이하인 거주자는 수영장과 헬스장 등 시설이용료의 30%를 최대 300만원 한도 내에서소득공제.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정보원과 함께 다음달 1일부터 전국 1천여 개 헬스장·수영장 시설이용료에 대해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문화비소득공제는 그동안 도서, 공연, 박물관, 미술관, 신문, 영화 등 주로 문화예술 분야에 적용됐습니다.
7월 1일부터 전국 1,000여 개 헬스장·수영장 시설 이용료에 대해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 가운데 30일 서울 서초구 방배열린문화센터 코오롱스포렉스에서 시민들이 운동을 하고 있다.
7월 1일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시설을 이용하면 비용의 30%를소득공제받을 수 있다.
총급여 7000만원 이하의 근로소득자는 시설 이용료의 30%를 300만원 한도 내에서 받을 수 있다.
사진은 문화비소득공제시행을 하루 앞둔 서울 시내의 한 헬스장.
금리를 높여 대출 한도를 낮추는 스트레스 DSR의 3단계 조치가 오늘(1일)부터 시행됩니다.
헬스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에 대한소득공제도 오늘부터 적용됩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제도와 법규 사항을 알기 쉽게 정리한 '2025년 하반기부터.
이진영 올해 9월부터 예금자 보호 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높아진다.
수영장이나 헬스장 시설 이용료에 대해 신용카드소득공제가 적용되고,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 가정에는 국가가 양육비를 먼저 지급한다.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모바일.
24년 만에 기존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이 외에도 수영장·헬스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에 대한 신용카드소득공제신설 등 국민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새 제도가 시행됩니다.
금융·재정·조세 등 분야에서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제도.
(사진=게티이미지) 1일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안내책자 ‘2025년 하반기에는 이렇게 달라집니다’를 발간했다.
(자료=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1일부터 수영장, 체력단련장 등 체육시설 이용료에 대한소득공제가 시행된다.
또 10년 이상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소상공인이 경영악화를 이유로공제계약을 해지할 경우, 해약환급금이 퇴직소득으로 과세된다.
조각투자상품에서 얻은 이익은 새롭게 배당소득.
[앵커] 벌써 어느덧 올해도 하반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이에 맞춰 헬스장소득공제등 오늘(1일)부터 시행되는 법이 적잖습니다.
하반기로 넓혀 보면 160여 개에 달하는데요.
- 이전글, 121년만에 가장 더웠다… 25.07.02
- 다음글한 지 2년이 지난 용지에 대한전매가 25.07.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